본문 바로가기
교육소식

원점수 제공하지 않고 표준점수를 제공하는 이유

by 스마트에듀홀릭 2022. 9. 27.
반응형

 

1. 원점수 제공하지 않고 표준점수를 제공하는 이유

수능은 한국사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과목을 수험생이 임의 선택하여 응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영역/과목에 응시하는 수험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영역/과목 간에 난이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습니다. 즉, 원점수로는 영역/과목 간 난이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표준점수제를 도입한 것입니다.
원점수는 시험 총점과 대비하여 몇 점을 받았는가 하는 정보만을 나타낼 뿐 개인 간 상대적인 비교나 개인 내 영역/과목 간의 비교는 어렵습니다. 반면 표준점수는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개인의 원점수에 대해 의미 있는 해석이 가능하도록 바꾼 점수입니다.

원점수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통지표 예시. [사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표준점수란?

표준점수는 원점수의 상대적 서열을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즉, 표준점수는 영역 또는 선택과목별로 정해진 평균과 표준편차를 갖도록 변환한 분포상에서 개인이 획득한 원점수가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표준점수의 산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영역/과목별로 다음 공식에 의하여 Z점수를 구합니다.

원점수

 

②위에서 얻은 Z점수를 다음 공식에 대입하여 표준점수를 산출합니다.
(표준점수) = (Z점수) × (해당 영역/과목의 표준편차) + (평균)
※ 국어, 수학: 평균 100, 표준편차 20 (Z점수는 p.21 참고)
탐구 영역: 평균 50, 표준편차 10

<예>탐구 영역 물리학Ⅱ에서 원점수 38점(원점수 평균 19.1, 표준편차 9.2)을 받은
수험생의 물리학Ⅱ 표준점수는
(38-19.1/9.2)*10 +50= 70.54를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71점이 됩니다.
원점수와 표준점수의 변환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습니다.

원점수
사진:2023대학수학능력시험Q&amp;A

3. 영역/과목별 표준점수의 평균, 표준편차 및 범위?
2023학년도 수능에서는 <표 2>와 같이 국어, 수학 영역은 평균 100, 표준편차 20, 탐구 영역은 평균 50, 표준편차 10으로 선형 변환한 표준점수를 사용합니다.
표준점수의 범위는 국어, 수학 영역은 0~200점이고, 탐구 영역은 0~100점입니다. 이 범위는 (해당 영역/과목의 평균) ± 5 × (해당 영역/과목의 표준편차) 이며, 이 범위를 벗어난 점수는 절삭하여 0점 혹은 200점(100점)을 부여하게 됩니다.

원점수

표준점수의 범위가 0~200(100)이라는 것은 표준점수의 만점이 200점(100점)임을 의미하는게 아니다. 원점수에는 만점이 있으나 표준점수에는 만점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원점수 만점에 해당하는 표준점수의 최고점은 원점수의 분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표준점수 범위 밖의 점수는 절삭하여 국어, 수학 영역은 0점 혹은 200점을, 탐구 영역은 과목별로 0점 혹은 100점을 부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