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펼치면 빠져드는 긴장 만점 두뇌게임
SET 보드게임
(멘사가 인증한 두뇌게임, SET보드게임)
통합과학수업 1단원 알칼리금속의 공통성 탐구에 대한 실험을 하기 전에 학생들과 재밌게 할 수 있는 게임을 소개합니다.
어렸을 적 한 번쯤은 했던 보드놀이가 있죠. 바로 블루마블입니다. 블루마블 게임을 즐겼던 어린이들은 세계 각국의 이름과 국기, 수이이름은 척척 외웠던 기억이 납니다.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생각나는 것 보면, ‘게임’처럼 재미있는 공부는 없는 것 같네요.
블루마블 이후 많은 보드게임이 생겨났지요. ‘젠가’, ‘할리갈리’ 등 그 종류도 다양합니다. 아이들은 보드게임을 하며 건강한 경쟁과 때론 양보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지요. 또한 여러 경우의 수가 주어졌을 때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생각하는 법도 길러줍니다.
그 중 IQ140이상인 수재들의 모임으로 알려진 멘사에서 추천한 게임이 있습니다. ‘두뇌 개발 게임’으로 공인 인증 받은 셈이죠. 그리고 통합과학 1단원 원소의 공통성 탐구에 대한 수업 활동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게임이 공부가 된다니 정말 신나는 소식입니다. 수업시간에 아이들과 간단히 즐길 수 있는 ‘SET게임’을 소개하려 합니다.
게임 방법은 이렇습니다. 누구보다 빨리 많이, 세트를 찾아라!
모양·색깔·음영·개수, 네 조건을 맞춰 외쳐보자 ‘세트’!
SET게임을 SET팅하자!
집중력과 관찰력으로, 세트를 뽑아내자!
라운드 종료 및 점수 계산
더미에 더는 펼칠 수 있는 카드가 남아 있지 않을때 한 라운드가 끝납니다.
TIP
: 세트가 아닌데 무조건 세트부터 외치는 플레이어를 위한 벌칙으로 가지고 있는 세트카드 중 1장을 더미에 반납하기
SET게임은 세트의 카드의 생김과 규칙을 ‘이해’한 뒤, 다양한 카드 모양을 집중력을 발휘해 ‘관찰’하고, 이를 ‘비교·분석’한 뒤, 세 카드가 세트가 될 것이라고 ‘유추’하는 능력이 필요로 됩니다. 또한, 고도의 집중력도 필요하죠.
|
반응형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workspace 사용자 정보 업데이트 (0) | 2022.02.18 |
---|---|
구글 meet에서 유튜브 음성 송출하기 (0) | 2020.04.14 |
교육 게임화 사례 04: TvN문제적남자 3월 12일 뇌섹드로잉 (0) | 2018.01.18 |
교육 게임화 사례: 02수업복습-스타퀘스천 (0) | 2017.06.21 |
교육 게임화 사례: 01팀구성-연봉경매게임 (0) | 2017.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