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고1 고등학교 입학 전후 체크리스트
고등학교 과정은 중학교 과정과 달라서 미리 계획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원하는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철저한 준비 없이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우왕좌왕 시행착오만 겪다가 1년을 보내는 학생들을 너무 많이 봤다.
따라서 준비해야 할 사항들을 항목별로 잘 체크하고, 남은 중3 시기를 알차게 보내자!

1. 진로’에 대한 고민
예전 입시는 공부만 열심히 하다가 고3 올라가서 수능 결과에 맞춰 학과를 정했다면,
지금 입시는 나중에 무엇이 되고 싶은지를 고민하고
고민한 내용이나 활동을 학생부를 통해 보여주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등학교 입학 전 중3 시기부터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고민한 흔적을 학생부를 통해 남겨주면 그 내용도 평가 영역에 포함하겠다는 전형입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전공적합성’입니다.

지금은 진로활동에 기재하는 ‘희망분야’는 실제 대학에 제출할 때는 미제공되어 진로에 대한 중요성이 낮아졌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구체적인 진로희망을 모르는 상황에서 학생부만 보고도 이 학생이 나중에 무엇이 되기 위해 노력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진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설정된 진로에 맞춰서 활동을 해나가는 로드맵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학습플래너 작성 및 실천
계획표에 의한 실천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고3이 되면 누적된 학습으로 인해서 슬럼프, 학업 스트레스, 친구들의 유혹 등 의미 없이 흘려보내는 시간들이 많아지게 된다. 어떤 학생은 빨리 고3 생활이 끝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해야 할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하고 싶은 공부, 시간을 빨리 보낼 수 있는 공부만 한다.
그래서 계획을 세워서 학습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월 계획, 주 계획, 일 계획, 그리고 하루 일과 시간 계획까지 철저하게 세워서 학습해야 합니다. 계획에 의해 진행되는 학습만이 고3의 스트레스, 슬럼프, 친구들의 유혹, 학습의 편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계획에 의한 학습은 고1, 아니 실질적인 고등학교 시작인 이번 중3 시기부터 시작되어 그것이 습관화되어야 합니다. 중3, 고1, 고2 때부터 계획표에 따른 실천이라는 연습을 하고, 그것이 습관이 되어야 고3 중요한 시기에 비로소 의미 없이 흘려보내는 시간 없이 목표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아주 오래전 2013년 고3 담임을 했을 때 학급 전체 강제로 학습플래너를 쓰게 하고 시간관리를 시킨 적이 있다. 8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반 전체 수능 점수 20점 상승, 한 학생은 120점이 상승한 학생도 있었다. 학습 플래너는 성적 향상 및 자기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이다.
어떤 계획을 어떻게 세워서 어떻게 실천하느냐에 따라서 성적 향상은 물론 대학 입시의 최종 결과까지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계획 수립과 실천이 필요합니다. 고등학교 입학 후의 계획서는 수업 시간을 고려한 월 계획, 주 계획, 일 계획, 시간 계획까지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2023년 8월 25일 '2025학년도 대학입시전형계획' 발표 주목해라.
예비 고1(현 중3) 학생이 치루는 대학입시는 2026학년도 대학입시이다.
매면 8월 25일에 대학입시전형계획이 발표되는데
2025학년도(현 고1) 학생들이 치르는 대학입시전형계획은
2023년 8월 25일에 발표될 예정이다.
2024학년도 수시 현)고1, 2 생기부 기재 제대로 알기
[2024 수시] 고1·2 '생기부 기재 방식' 제대로 알기 2023학년도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가장 긴장되는 학년은 당연 올해 수능을 치르는 고3, N수생들이겠지만 앞으로 예비고 3도 긴장의 끈을
chemedu93.com
대학입시제도는 1년 단위로 큰 변화를 두지 않기 때문에
현 고1 학생들이 치르는
대학입시전형계획, 생활기록부 기재 상황, 수시, 정시 인원 등의
대학입시 흐름을 미리 파악해 두어야 할 것이다.
'교육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수학능력시험 답안지 견본 (0) | 2022.10.30 |
---|---|
수험생 유의사항 동영상 (0) | 2022.10.30 |
2023학년도 수능, 이것만은 꼭 알아가세요! (0) | 2022.10.24 |
고금리 시대에 학점은행제 학습자 저금리 학자금 대출 가능 (0) | 2022.10.19 |
2023학년도 수능 부정행위 유의사항 (0) | 2022.10.17 |
댓글